교과목 개요
전공 필수
전공 선택
• 교수자(敎)의 설명
•• 학습자(育)의 설명
곤충병리학 및 실험(Insect Pathology & Lab.)₃
• 곤충도 사람이나 다른 동물처럼 질병(disease)에 걸린다. 곤충 질병의 원인도 사람처럼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 다양한 원인 미생물이 있다. 이러한 곤충 질병의 원인을 알게 되면, 보호해야 할 유익한 곤충은 병에 걸리지 않게 할 수 있고, 방제해야 할 해충은 병에 걸리게 유도하여 제어할 수 있다. 곤충 질병의 주요 병원체들을 이해하고 그를 이용한 해충 방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 곤충과 병원체의 관계 및 감염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응용하여 곤충병원성 병원체를 활용한 살충제의 특성 및 기작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과목이다. 또한 곤충세포주의 특성과 배양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곤충병원성 바이러스인 Baculovirus와 곤충세포의 관계를 생명공학적으로 응용하여 유용단백질 생산 및 유전자 치료 등 넓은 분야를 폭넓게 살펴볼 수 있는 과목이다.
곤충분류정보학 및 실험(Insect Taxonomy Informatics & Lab.)₃
• 과거의 곤충분류학은 잊어라. 이제는 4차산업혁명시대, 뉴노멀시대이다. 책에 쓰여 있는 곤충 분류군의 구분을 위한 검색키는 더 이상 MZ세대를 위한 방식이 아닌 만큼, 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강의 및 실습이 주를 이룬다. 루시드, 포토샵, 인섹트 도블 스크래치 게임, 디지털 포토그래피 등은 전혀 새로운 경험이 될 것이다. 물론 곤충 채집, 곤충 생식기 해부, 곤충 사진촬영 등이 연계되어 수업과 실험이 진행되며, 학생들은 곤충의 목별 발표를 준비해야 한다. 곤충을 많이 다루고, 투자해야 하는 시간도 많지만, 식물의학과 학생이라면 모두 해낼 수 있고, 또 해내고야 마는 과목이다. 주교재는 따로 없고 팀플 활동이 많다. 한때 3학년이 사망년(!)으로 인식되게 했던 주범이라는 설이 있으나, 더 이상은 아니라는 게 담당교수의 주장이다. ^^
•• 당신은 곤충을 분류할 수 있는가? 나방과 나비의 차이점을 짚어낼 수 있겠는가? 거미는 곤충이라고 생각하는가? 명쾌한 해답은 이 과목에 있다. 다양한 곤충의 채집과 해부, 사진 촬영 등이 연계되어 수업이 진행된다. 또한 컴퓨터를 활용한 다양한 실습인 루시드, 포토샵, 인섹트도블스크래치게임, 디지털포토그래피 등은 4차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는 여러분에게 새로운 경험과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 투자하는 시간은 많지만, 식물의학과에서 제일 깨어있는 아메리칸 스타일 교수님의 지도하에 여러분은 더욱 성장하고 안목이 넓어질 것이다. 주교재는 따로 없으며 오롯이 유학을 온 듯한 느낌을 느껴보도록 하자.
곤충생리학 및 실험(Insect Physiology & Lab.)₃
• 사람을 포함한 척추동물들과는 매우 다른 많은 특성을 가지며, 지상은 물론이고 물속에서도 살아가고 있는 다양한 곤충들의 기본적인 생물적 특성을 알고 이해하는 과목이다. 곤충의 피부 구조를 이해하는 것을 시작으로, 곤충이 먹이를 찾고 먹는 방법과 소화에서 배설까지의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내부 기관들을 이해하게 된다. 또한, 척추동물과는 다른 기능과 성분으로 이루어진 곤충의 혈액은 어떻게 순환되고, 지상과 수중의 곤충들은 어떻게 숨을 쉬는지 배운다. 다양한 환경에 처한 곤충들이 생존을 위해서 받아들여야 하는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의 다양한 정보들은 어떻게 받아들이며 그 정보를 곤충들은 어떻게 종합하고 전달하게 되는지 등 곤충의 내부에서 주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생리 반응을 이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곤충과 인간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해답을 찾고자 하는 과목이다.
•• 곤충의 피부 구조, 내부 기관, 수중과 지상에서의 호흡 방식과 자극에 대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을 통해 척추동물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곤충의 생리에 대해 알 수 있다. 곤충의 생리학적 특성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다른 응용곤충분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곤충생명공학 및 실험(Insect Biotechnology & Lab.)₂
• 생명의 원천인 유전자의 조작을 통해 새로운 생명체를 창조하는 꿈의 생명공학 기술까지는 아니지만, 유전자를 자르고 붙이고 변형하는 등 유전자를 조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실질적인 유전공학의 기초 기술에 대해서 이론과 실험 실습을 통해서 알아가는 과목이다. 유전자를 조작할 수 있는 사람의 기술이 어느 수준까지 발전했는지 가늠할 수 있으며, 우리가 어떻게 이러한 기술들을 인간들에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곤충에는 생명공학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 Cloning, PCR, DNA 추출 등, 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유전자 조작 기술을 배움으로써 연구자에 한발짝 다가갈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과목이며,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유용 단백질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DNA 및 단백질의 분석 등 다양한 실험 기술을 접해볼 수 있다.
곤충생태학(Insect Ecology)₂
• ‘지구는 곤충의 혹성이다.’ 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약 4억 년 전 고생대에 처음 출현한 곤충은 지구 동물의 80%에 달하고, 100만 종 이상이 생존하고 있으므로 과언이 아닌 팩트라고 할 수 있다. 곤충은 지상뿐만 아니라 토양 속, 공중, 수중 또는 나무의 잎이나 속, 다른 동물 속 등, 다양한 공간에 생활 장소를 개척하여 살고 있다. 또 단독 생활하는 곤충이 있는가 하면, 개미나 꿀벌처럼 수천 또는 수만 마리가 거대한 사회를 형성하여 생활한다. 이 과목은 이렇듯 다양한 곤충의 생활을 때로는 하나씩, 때로는 전체적으로 들여다보도록 해 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곤충이 생활하고 있는 그들 생태계에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 어릴 적 곤충에 대해 신비함을 느끼고, 파브로 곤충기를 읽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이 호기심을 곤충을 직접 사육하면서 개체군의 생태, 개체군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곤충과 곤충, 곤충과 식물 간에 이루어지는 언어 소통을 알아가는 학문이 곤충생태학이다. 곤충도 규칙적인 24시간의 생활리듬이 있다. 즉 음식을 섭취하고 활동하는 시간, 휴식하고, 잠자고, 데이트하는 시간 등이 있다. 이 리듬을 관찰하고 알아가는 가운데 곤충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으며, 평가는 흥미로운 곤충관찰에 대한 비중이 높아서 시험에 대한 부담이 적을 것이다. 호기심을 학문으로 바꾸어 주는 기회, 어릴 적 단순히 궁금증으로 만났던 파브로 곤충기의 주인공들을 생태학이라는 학문으로 만나볼 수 있다.
미생물학(Microbiology)₂
• 미생물학은 서론에서 미생물학의 역사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강의를 시작한다. 학문의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학문이 발전하는 시대적 상황과 이유 등을 알 수 있다. 미생물학의 역사 공부를 마치면 중요한 미생물의 특징, 자연 생태계 속 미생물의 생활, 미생물의 관리(방제) 등에 대한 내용을 배운다. 이런 내용을 통하여 미생물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기본 방제 개념을 이해하게 되며, 이는 추후 식물병리학을 공부하는데 꼭 필요한 기초 역할을 할 것이다.
•• 고등학교 때의 생물 시간보다 깊숙이 배우면서 내가 진짜 미생물, 생물에 관련된 학과에 왔구나를 체감할 수 있음. 진균, 세균, 고세균, 바이러스 등, 대부분의 미생물의 특징과 다루는 방법 등을 배워 3학년 전공필수인 진균병학, 세균병학, 바이러스학, 식물병리학, 수목병리학, 곤충병리학 등 많은 수업에서 빠른 이해가 이루어지게 도와줌.
분자생물학(Molecular Biology)₂
• 식물의 건강과 병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분자의학뿐만 아니라 형질전환 식물에서의 유전공학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분자 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분자생물학은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파악하고 설명하려는 생물학의 분야로, 수업을 통해 생물체가 가진 유전물질의 구성 및 구조, 다음 세대로의 유전, 유전정보의 발현 기작 및 그 조절, 돌연변이 등에 대해 분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생화학(Biochemistry)₂
• 아미노산, 단백질, 탄수화물의 구조 및 특성, 효소의 구조와 작용특성 등 세체화학의 기초적인 내용에서 대사론으로 해당과정, TCA 대사경로, 전자전달계 및 산화적 인산화, 광합성 과정을 강의하며, 생명 현상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
세포생물학(Cell Biology)₄
• 생물학의 한 분야로 생물체의 기본 바탕을 이루는 세포의 구조, 세포소기관의 기능과 더불어 세포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 세포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 등에 대해 강의한다.
••
수목병리학 및 실험(Tree Pathology & Lab.)₃
• 산림을 이루는 임목 생활공간의 조경수, 관상수들에 나타나는 이상의 원인을 나무의 특성에 맞추어 유형별로 구분하여 강의함으로써, 식물병리 전공 학생들이 나무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고, 수목의사로서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세상에는 많은 종류의 식물이 있는데, 초본식물의 경우 보통 제거하고 다시 심으면 되지만, 한자리에서 오래 머물며 자라고 가격도 훨씬 높은 수목은 그럴 수 없는 편이다. 이러한 수목의 병은 어떻게 치유하고 또 잘 유지하는지를 배울 수 있는 학문이다.
식물기생선충학(Plant Parasitic Nematology)₄
• 식물 병을 일으키는 식물 기생선충의 형태, 분류 및 생태는 물론, 기주 식물에 대한 선충의 영향, 다른 선충 표본 추출 전략, 시료 처리 기술, 관리 전술 및 종합적 관리 원칙을 강의하여 기주-기생선충의 기본 중요성을 이해하고, 증상과 형태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식물 기생선충 식별법, 식물생태계에서 식물 기생선충 개체군 발달, 환경의 영향, 다양한 식물 기생 선충 관리 전략 등을 이해하도록 함.
••
식물바이러스병학(Plant Virology)₃
• 바이러스는 생물인가 무생물인가 - 이것이 문제이다. 왜 식물바이러스는 방제가 잘 되지 않는 것일까? 학생들은 식물바이러스병학 수업을 통해 식물에 여러 가지 이상을 일으키며 수확량을 떨어뜨리는 바이러스의 본질에 대해 알아보고, 바이러스의 형태와 생태 등을 파악함과 함께, 식물바이러스의 다양한 발생 원인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바이러스에 의한 식물병을 이해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농업 현장에서 문제되는 바이러스의 진단 및 방제에 대해 기초 기술을 습득하게 될 것이다.
••
식물병 진단 및 방제학(Plant Disease Diagnosis and Management)₄
• 식물에 발생하는 병의 진단과 방제 방법을 다룬다. 식물병을 진단하기 위한 육안 진단, 현미경 진단, 이화학적 진단, 유전자 진단, 혈청학 진단 등의 방법을 배운다. 식물병을 진단한 후, 병의 피해를 막기 위한 방제 방법으로 농사기술을 이용하는 경종적 방법, 검역이 주가 되는 법적 방법, 화학농약인 살균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 미생물과 천연물 등을 사용하는 생물적 방법, 생물과 화학적 자재가 아닌 것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 등을 공부한다. 이를 통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을 진단하고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컨설팅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 여태까지 힘들게 중간고사, 기말고사 치면서 갈고 닦아온 식물병리학 지식들을 총동원하여 사용하고 또 응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목으로, 실험실 및 현장에서 직접 쓰는 것들을 위주로 배워서 모든 부분을 흥미롭게 들을 수 있다.
식물병리학(Plant Pathology)₂
• 식물병의 정의, 병리학의 이제까지 이루어진 내역, 병원체로서 곰팡이, 세균 및 바이러스의 분류, 병징, 병의 성립, 병원성, 기주, 저항성, 발병환경 및 방지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식물에 병이 어떻게, 왜 발생하는지를 배우며, 비전공자와는 완전히 차별적인 지식을 가지게 되는 과목이다.
식물생리학(Plant Physiology)₂
• 식물이 보여주는 생명현상의 이해는 물론, 식물의학 전공 등 농업 분야에서의 연구의 폭을 넓히기 위해 식물의 기본 구조, 수분과 영양 생리, 광합성, 호흡, 생장과 발육, 개화 및 결실 과정 등, 식물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생명현상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식물이 어떻게 살아가고 또 유지하는지를 배우며, 동물과 확실히 다른 점을 알 수 있게 된다. 듣고 나면 내가 정말 식물(작물)과 농학에 대하여 전공을 하는구나를 느끼며 비전공자에게 설명해 주고 싶어지게 하는 과목이다.
식물세균병학 및 실험(Bacterial Plant Pathology & Lab.)₃
• 식물병원세균 및 이에 의한 식물병의 전반에 대해 배우고, 실험을 통해 기초적인 기술을 익힌다. 식물병원세균의 특징, 분류, 병원성과 식물세균병의 발생과정, 발병 환경, 방제, 주요 식물세균병 등에 대해서 공부한다.
•• 다른 미생물들보다 유전 쪽에 연구가 많이 되어 식물병리학을 유전 쪽으로 깊게 배우고, 특히 원핵생물에 대하여 깊게 배우면서 진핵생물과 다른 점을 알아가며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식물의학개론(Introduction to Plant Medicine)₁ *전공기초
• 식물의학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주요 전공 및 전반적인 연구분야를 교수진 전체의 팀티칭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과목이다. 이와 함께 여러 분야에 진출해 있는 졸업생 선배들의 초청강연을 통해 다양한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Pass/Fail 과목이며, 주교재는 식물의학개론(충북대 식물의학과 교수진 공저, 2016)이나, 추가 강의자료가 많이 제시되곤 한다. 출석과 함께, 리포트만 확실히 제출하면 나름 마음 가볍게 들을 수 있는 과목이다.
•• 10년, 20년, 30년 후의 나의 모습은 어떨까? 식물의학개론은 현장에 진출한 선배들의 초청강의를 위주로 이루어진다. 건축학과에 건축학개론이 있다면, 식물의학과에는 식물의학개론이 있다! 물론 영화에서처럼 수지와 꽁냥꽁냥하는 과목은 아니지만, 응용생명공학부 시절 2학년 때 전공을 선택하는 1순위가 거의 항상 식물의학과가 될 수 있도록 한 1등 공신 과목이다. 식물의학과에 대한 소개와 커리큘럼, 그리고 진로 등을 소개하는 과목으로, 강의를 통해 자신이 알지 못했던 직업과 분야에 대한 현실적인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어쩌면 책 속에 있는 전공지식보다 진로를 설정함에 있어 훨씬 도움이 되는 수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식물의학세미나(Plant Medicine Seminar)₄
• 식물병리분야의 학과목과 해충분야의 학과목에 대한 실험실습의 총 이해와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의 발표와 이의 활용방법 등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강의 지도함.
••
식물진균병학 및 실험(Fungal Plant Pathology & Lab.)₃
• 경제적인 피해를 주고 있는 식물병 중에 병원성 곰팡이가 원인이 되는 병은 전체의 70 % 정도에 달한다. 이 과목에서는 식물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서 공부하게 된다. 식물병원성 곰팡이의 분류학적인 특징, 병을 일으키는 기작, 농업 현장에서 병이 발생하는 과정, 그리고 병을 방제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 중요한 병을 대상으로 배우게 된다.
•• 우리가 먹는 과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식물병들의 대부분이 진균 때문인데, 이를 수업 시간에 배운다. 병의 70%가 진균이기 때문에 수업이 끝난 후 작물에 일어나는 대부분의 병을 알 수 있게 된다. 식물진균병학실험은 진균병학 수업의 만 오천 배 이상 재미있다는 말도 있다.
식물해충학및실험(Plant Insect Pests & Lab.)₃
•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건강한 먹거리를 찾는 사람이 많아졌는데,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학문이 바로 식물해충학이다. 식물해충학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주요 해충들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종을 동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학문이다. 해충의 발생 시기와 부위, 가해 정도를 알아내고, 방제법을 찾아낸다. 글로벌시대에 교역량과 물자가 많아지면서 곤충들도 끊임 없이 생활범위를 넓히며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이 과목은 학문적으로 지칠 틈이 없다. 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학문이자, 나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이로움을 줄 수 있어 또 다른 면에서 삶의 가치를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학문이다.
•• 최근 기온변화로 과거에 문제되지 않았던 곤충이 문제해충으로 다가오고, 외래해충이 침입함으로써 방제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과목은 각 해충에 대한 발생생태, 피해 및 방제에 대하여 이해하도록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졸업 후에는 검역원 등에서 해충의 국내 유입을 차단하거나, 또는 지도사 등 국가공무원으로 현장에서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해충에 혐오감이 있는 학생에게는 아주 귀여운 곤충을 관찰하도록 배려하고, 익숙해지면 해충의 범위를 넓혀간다. 수강 후에는 식물의사로서의 자신감이 생기고, 식물에 발생하는 해충을 동정하고 처방할 수 있게 된다. 평가 방법은 해충 관찰이 주가 되고, 평가를 위한 공부는 국가공무원 선발 및 지도사 자격증과 관련이 되어 있어 일거양득이라고 할 수 있다.
식물형태학 및 실험(Plant Morphology & Lab.)₂
• 사람의 병을 치료하는 의사가 인간의 해부 구조를 모른다면 외과 수술을 할 때 뿐만 아니라, 내과적인 치료를 할 때에도 다양한 이론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크다. 이런 이유로 식물의 외부 및 내부의 구조를 공부하는 형태학이 필수적이다. 식물형태학에서는 식물을 세포, 조직, 기관으로 나누어 다양한 내부와 외부 구조를 공부한다. 식물의학과에서 식물형태학을 공부하는 더 중요한 목적은 식물의 형태적 특징이 병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공부함으로써 특별한 구조에 의해서 병이 발생하지 않는 형태적 저항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 식물의 기관 구조 등 명칭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수업이 끝난 후 길을 가며 볼 수 있는 모든 식물의 명칭을 알고 싶어지는 수업이다.
실험통계학(Experimental Statistics)₂
• 작물에 관한 각종 실험 및 조사에 필요한 실험계획 및 통계적 분석방법의 개요와 응용방법을 강의함으로써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그리고 농산물실험 및 조사에 통계적 분석방법의 개요와 실험계획의 기초를 소개함으로써 실제 면에서 모방으로 창조성을 발휘하게 함.
••
양봉학(Apiculture)₄
•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4년 안에 멸종될 것이라는 아인슈타인의 예언에서 보듯이 꿀벌은 인류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양봉은 태고 때부터 인류와 함께 했기 때문에 친숙하며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최근 바이러스병과 환경조건의 악화로 양봉산업이 위축되고 있어서 꿀벌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과 실습의 무장이 필요하다. 이 과목은 꿀벌의 특성, 영양과 먹이, 그리고, 봉군(벌 집단)의 특수관리, 꿀벌 생산물의 성상(성질과 상태)과 이용, 꿀벌에 발생하는 질병과 적(enemy)에 대해 알아보고 처방이 가능하게 한다.
•• 맛있는 음식을 대하면 ‘꿀맛이야!’라고 감탄하고, 행복한 결혼으로 첫발을 내딛는 신혼부부의 생활을 ‘HONEYmoon’이라고 한다. 인생의 행복한 순간을 상징하는 꿀벌은 인류 먹거리 생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꿀벌이 건강하게 날아다니고 열매를 맺게 하여 꿀이 풍부한 세상이 되도록 젊어서부터 양봉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멋진 일이다. 화분 수정과 꿀, 꽃가루, 천연항생물질인 프로폴리스(propolis), 로얄젤리(royal jelly) 등의 생산물은 물론, 봉침으로 병을 치료하는 등, 꿀벌을 이용한 산업은 참으로 무궁무진하다. 강의는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다. 미니벌통을 이용한 꿀벌 사육, 아카시아꿀, 꽃가루, 프로폴리스 및 로얄제리를 직접 채취한다. 또한 양봉으로 성공한 분들의 초청 강연을 통해 양봉산업의 성공 비법을 전수받는다. 평가는 이론보다는 현장견학 및 실습에 높은 비중을 두고 이루어진다.
위생곤충학 및 실험(Medical Entomology & Lab.)₄
•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곤충을 비롯한 절지동물들이 사람들의 건강에 직접적으로 어떤 피해를 줄 수 있는지 이해하고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인간의 건강에 피해를 주는 곤충의 종류에서부터 피해의 종류와 정도 그리고 이들 곤충의 생태, 생리적인 특성 이해를 통해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에 어떤 종류의 위생해충들이 존재하는지 알게됨으로써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농업해충이 아닌 우리 주변에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질병을 매개하는 위생해충에 대해서 알 수 있다. 이 강의를 통해 해외 여행을 나갈 때, 그 나라에서 주의해야 하는 위생해충과 법정 감염병을 알고 미리 예방하는 등, 학문적인 여러 방면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유기화학(Organic Chemistry)₂
• 농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응로 동·식물 즉 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성분인 유기화합물들의 계통별 분자의 구조, 명명법, 물리화학적 성질, 유기반응의 종류, 이론 및 메카니즘, 기초 유기합성과 분해 그리고 유기화학에 필요한 화학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이해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
유전자 조작(Gene Manipulation)₄
• 분자생물학 기술의 기반을 이루는 유전자조작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식물의학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 조작 기술을 학습한다.
••
유충분류학 및 실험(Immature Taxonomy & Lab.)₄
• 곤충분류정보학이 어른벌레를 대상으로 한다면, 유충분류학은 곤충의 애벌레에 관심을 가져보는 과목이다. 이 과목은 곤충분류정보학에 비해 수업부담이 적고 학생주도적인 과목으로, 학생은 크게 두 가지 목표를 수행한다. 하나는, 분류학적으로 주요 애벌레류에 대해 목별, (또는 아주 중요한 과의 겅우엔) 과별 구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최소한 어떤 애벌레를 보면 그게 어느 목에 해당하는지, 나비목 애벌레인지, 파리목 애벌레인지는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또 하나는 학생이 어떤 주제로든 관심 가는 애벌레류를 선정하여 이들에 대해 나름의 조사하고 이를 자료화하여 일반인에게 소개하는 leaflet (낱장인쇄물)을 만들어 보는 것이다. 한 장의 종이에 앞뒤로 인쇄하는 것이므로 할 수 없이(?) 4~8종 정도 수준으로 종수를 한정해야 한다. 팀플로 진행되는 리플릿 제작 과정을 통해서 방문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조사 및 정리 과정은 물론, 사진자료의 저작권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 이 과목은 실습 위주의 과목이며, 조별 과제로 진행되기 때문에 조원의 참여가 중요하다. 직접 결과물을 만드는 리플릿 제작 과정이 정말 좋다. 캡스톤 디자인 과목과 비슷한 느낌으로, 유충분류키 해석 및 제작 참여나 리플릿 만들기 등의 직접 참여 과정이 있어서 더 많은 관심과 책임감을 갖게 된다. 유의할 점은, 평가가 주로 조별로 이루어지므로 조원 모두의 참여가 필요하고, 그런 점에서 조원 간 평가방식도 포함되면 더 공정하지 않을까.
일반곤충학 및 연습림실습(General Entomology & Lab.)₂
•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분류군, 곤충. 그들은 어떻게 성공한 집단이 되었을까? 학생들은 곤충의 형태, 생리, 생태, 분류체계를 살펴보면서 그 이유를 알게 된다. 이와 함께 곤충의 역사, 특히 인류와의 관계와 새로운 먹거리로서의 충식(entomophagy)의 중요성을 통해 왜 UN에서 충식을 지구의 환경과 인류 식량 해결을 위한 게임 체인저로 보고했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주교재는 식물의학(방통대 교재; 김길하, 조수원 등, 2012)이며, 관련 영상 시청, 팀플 활동 및 소통의 시간이 많이 제시되는 과목이다.
•• 곤충에 대해 아는 것이 하나도 없어도 수업만으로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학기가 마무리될 즈음, 어느덧 전문가가 돼버린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벌레와 곤충의 차이부터 시작해서, 곤충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함께, 곤충이 현대에 어떻게까지 이용되고 여겨지는지를 배우게 된다. 식물의학과의 곤충 전공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베이스가 되는 과목이다. 학생이 직접 참여하면서 강의가 진행되기 때문에 기억에 남을 수밖에 없는 과목이며, 대학에 와서 처음으로 "아, 진짜 대학교 수업다운 수업을 듣는 것 같다."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또한 이 과목을 듣고 나면 곤충을 무서워했던 친구라 하더라도 배운 것이 맞나 싶어 곤충을 직접 확인하려 드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자원곤충학과 기술사업화: 캡스톤디자인(Resources Entomolog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stone Design)₃
• 곤충의 자원으로서의 직간접적 가치와 활용범위는 무궁무진하다. 곤충 자체를 사업화하기도 하고 곤충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업화하기도 한다. 이 과목에서 학생은 수업의 절반 가까이는, 자원으로서의 곤충에 관한 간략한 내용과 함께, 왜 창업에 관한 기초지식이 필요한지를 포함하여 벤처 창업 과정에 필요한 기업가로서의 지식을 배우고, 나머지 절반(또는 그 이상)은 학생이 창업 아이디어를 팀플 과제로 자체 선정한 다음, 창업 아이템을 벤처창업으로 이어가는 과정을 실제로 거쳐 보고, 최종적으로는 스타트업 발표자로서 사업설명회를 진행하고 (엔젤투자자의 입장에서) 이를 평가 받는다. 캡스톤 디자인이란 실제로 활용될 아이템의 디자인, 개발, 시제품 제작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기업에 필요한 물품이나 해결과제, 또는 창업아이템의 개발에 적용되는 표현이다. 그래서 이 과목을 통해 선정된 상위 두 팀의 발표내용은 포스터화하여 학내 캡스톤디자인경진대회에 학과의 대표로 제출되고 대회에서 발표가 이루어진다. 추가적으로, 각 팀은 충식에 적합한 음식을 개발하여 시식회를 겸한 학과 내 충식요리대회도 진행한다.
•• 이 과목은 참여형 과목이라 재미있다. 특히 벤처는 말만 들었지 실제로 뭐가 필요한지 몰랐는데, 나름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제로 필요한 과정을 배우고 경험할 수 있었다. 창업 또는 사업이라는 것에 대해 조금 더 깊게 들어갈 수 있었기에 나중에 인생 살면서 분명 도움이 될 것 같다.
잡초방제학 및 실습(Principles of Weed Control & Practice)₄
• 경지에 발생하는 잡초의 특성을 알고, 이들이 작물에 주는 피해를 판별하며, 제초제화학을 이해하여 효율적인 잡초 방제 체계를 숙지한다.
••
재배학원론(Principle of Cultivation)₃
• 농업 분야의 기초과목으로, 농업 여건과 재배 양식이 달라지더라도 농업 생산의 기본 원리가 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국내외 농업 현황, 작물의 유전성, 재해 환경 및 재배 기술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이를 바탕으로 식물의학 전공에 대해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사고할 수 있도록 한다.
•• 농학 실험에서 항상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 공무원시험 필수과목이니 열심히 수강하자. 하지만 원론이 대부분 그러하듯, 외울 것도 많고 어쩔 수 없이 좀 지루하기도 하다.
조직관찰기법 및 실습(Botanical Histology and Microtechniques & Lab.)₄
• 식물보호를 비롯하여 세포 생물학, 형태학 또는 생리학 분야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기본지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와 조직, 기관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을 관찰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하며, 조직 절편, 염색, 면역 조직 화학 및 영상뿐만 아니라 세포, 조직 및 기관의 현미경 및 시각적 식별 기술을 개발하고 개선 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함.
••
토양비료학(Soil and Fertilizer)₂
• 작물재배의 기본이 되는 토양의 생성원리와 성질 및 비료의 특성을 강의하고, 양분의 흡수와 순환 등을 이해함으로써 합리적인 토양관리 및 각 작물별 시비방법을 강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해충방제학(Insect Pest Control)₄
• 해충 방제의 방제란 예방과 구제의 합성어로서, 예방은 발생의 억제나 피해로부터의 회피를 뜻하며, 구제는 발생 후의 조치를 말한다. 즉, 이 과목은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고 개발하는 기초기반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경제 작물에 대한 주요 해충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효율적인 방제 방법(법적 방제, 생태적 방제, 기계적 방제, 물리적 방제, 생물적 방제, 행동적 방제, 유전적 방제, 화학적 방제)이 있으며, 해충의 밀도 억제 수단으로서 각 방법이 어느 정도의 방제력 및 방제기술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 해충관리에 대해 배운다.
•• 이 과목에서는 농작물에 주로 발생하는 해충을 알기 위해 영상자료를 활용하고, 이론을 통해 형태 및 발생, 번식 등을 알아본다. 해충방제법은 흔히 사용되는 재료나 방법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농장에 식물을 재배하며 각종 방제방법을 실험하고 관찰하면서 새로운 방제법을 탐색한다. 평가는 주요해충에 대한 이해 정도, 방제법과 특정 농작물에 대하여 각자 생각하고 정리해온 내용의 적용능력, 및 방제법을 추론하여 설명하는 것이 위주가 된다. 해당분야에 취업한 선배님들의 특강이 있으며, 주요해충에 대한 이해와 실습은 농업분야의 공무원 진출이나 전공을 살린 사업을 하는데 꼭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환경곤충독성학 및 실험(Environment Toxicology of Insect Pests & Lab.)₃
• 환경곤충독성학은 곤충과 살충물질을 대상으로 하는, 생명화학과 환경에 관한 종합과학이다. 환경문제가 강조되면서 해충을 없애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물종의 다양성을 보존하는 환경보존형 농업경영 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환경에 무해 또는 아주 적은 독성을 나타내면서도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약제를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목을 통해 이미 개발된 살충제에 대하여 알아보고, 독물질의 개발과정을 조사하며, 해충에 독성을 일으키는 원리를 탐구하게 된다.
•• 새로 개발하는 약제의 최종목표는 해충을 죽이고 그 외 생물에는 무해한 특성을 가진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곤충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생리활성물질을 알아보고 해충을 합리적으로 제어하는 화학물질의 특성을 알아본다. 평가에서 흥미로운 것은 화학구조를 전혀 몰라도 A+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곤충을 잘 기르고, 화학물질에 대한 반응을 잘 관찰할 수 있으면 된다. 환경곤충독성학을 수강하면 농약을 개발하는 연구소에 취업하는 것이 수월하다고 한다. 물론 이 과목을 수강한 후에는 새로운 살충제 개발에 도전해 보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환경이상과 식물장애(Abnormal Environment and Plant Disorders)₄
• 식물에 나타나는 이상 중 기생성 병원체에 의한 이상 이외의 비정상적인 상태, 특히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이상과 생리적 장애 등을 원인별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식물병에 대하여 넓은 지식을 습득시킨다.
•• 길을 걸어가다 보면 수업 시간에 배우고 외웠던 미생물에 의한 병징보다도 더 다양하게 많이 보이는데, 과연 저건 어떤 이유일까 하는 호기심을 가지기 시작할 때쯤 다가오는 학기에 개설되고, 이 과목을 통해 그런 호기심을 풀 수 있는 과목이다.
Key Words: 자연_식물병_곤충_해충_식물의학과_농생대_충북대학교_청주_충북_대한민국